술에는 알코올이 다량 함유 되어 있습니다.
이 알코올이 인간의 중추신경계에 자극을 하게 되는데요.
소량일 경우는 중추신경계가 흥분을 하게 되고 다량일 경우에는 기억, 인지, 주의, 정보처리, 판단 등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게 하니다.
음주 후 나타나는 증세는 개인마다 틀리게 나타나게 됩니다. 음주경험이 많지 않은 사람은 낮은 혈중 알코올농도 (0.02~0.05%, 1~2잔 정도의 술) 에서 황홀감을 경험하거나 불안감이나 초조함이 감소되게 됩니다.
그러나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6~0.1% 3~6잔 정도의 술로 올라가게 되면 판단력이 낮아지고 운동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 농도가 0.2~0.25% 에 올라가면, 반대로 진정효과(?) 를 경험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0.3% 정도의 농도에서는 의식을 잃거나 마취, 마비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보다 더 높은 0.4%의 알코올농도가 넘어가면 호흡 부진, 혼수상태로 등으로 사망할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급하게 마시는 폭음은 감정, 운동, 인지 뿐 아니라 동기유발 등에 문제를 주므로써 호흡과 의식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술자리를 피하지 못하다면 즐기시고 최대한 천천히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마시어 이런 음주후 각종 증세 등을 완하시키기 바랍니다.
'건강을 관리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림을 자주하는 이유는? (0) | 2014.06.14 |
---|---|
술 조절방법 (0) | 2014.06.03 |
부상선수 몸에뿌리는 쿨 스프레이는 스프레이파스인가? (0) | 2014.05.16 |
꽃가루 알레르기 예방하려면? (0) | 2014.05.16 |
술과 약 함께 먹으면 안되는 종류. (0) | 201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