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위에 조그만한 교외의 땅을 사고 직접 집을 짓고자 하는 분들이 넘쳐나는데요.
저희 집 어르신들도 6~7년전 그렇게 해서 교외에 살고 계십니다.
하지만 개인의 시간부족, 건축에 대한 지식부족, 용기 등이 선뜻 나지 않아 직접 집을 짓는 다는 것을 엄두내기가 힘이 드는 것이 사실인데요. 많은 어른들이나 한국분들이 좋아하는 황토방시공 절차를 간단히 알아보고 절차별로 유의사항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집 짓는 사람 구하기.
농촌에서는 일손구하기가 힘이 드는데요. 집 짓는 사람 모으는 것부터 쉬운일이 아닙니다. 동네에서 집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분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 입니다. 본인이 제작자가 되고 기술책임자 한명, 보조 일꾼 2~3명 정도가 필요 합니다. 가족중에 보조일꾼으로 시간이 되는 분이 있다면 같이 짓는 것도 좋은 추억이자 믿을만한 방법 입니다.
흙 구하기.
정작 집을 지으려고 황토를 구하려고 하면 구하기가 쉽지가 않은데요. 요즈음은 황토회사들도 상품을 많이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한 황토방시공을 위해서 좋은 황토를 찾는 것도 집 짓는 재미중에 하나 입니다. 가까운 곳에서 황토를 찾아 다녀보세요.
흙 벽돌 찍는 기계?
요즈음은 흙 벽돌 찍는 기계가 나와서 상품 자체로 출시가 되는데요. 진정 옛날 방식으로 하고 싶은 분은 구 시대 기계를 알아 보셔야 합니다. 짚을 썰어놓고 밟아서 꾹 눌러내는 것이 그것인데요. 네모난 용기에 반죽한 흙을 넣고 몇번씩 조작하면 흙벽돌이 튀어나오는데 해보신 분들은 이 느낌과 재미를 아실 것 입니다.
만약 수작업을 하신다면 흙 반죽후 하루를 숙성후 찍어내는 것이 좋고 이후 3~4일동안 바람이 잘 통하게 해서 굳힌후에 사용해 좋습니다.
지붕 이엉 엮기.
요즈음은 시골에서도 지푸라기를 구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지푸라기를 구하고 나면 마당에 골고루 펼친후에 물을 촉촉하게 뿌려 부서짐을 막아야 하는데요. 한줌씩 갈라서 머리를 묶고 또 지푸라기를 잡아서 엇갈려 묶습니다. 이렇게 엮은 이엉을 둘둘 말아 보관합니다. 지붕을 하려면 서까래가 있어야 하는데 벌목허가가 있는 지역에서 소나무를 구하면 됩니다.
흙벽 쌓기.
기초가 중요한데요. 1미터 정도 깊이에 폭 70센티미터를 파고 진흙과 돌을 섞어 반죽한 것을 넣습니다. 이때 굳히면서 다져야 합니다. 시간은 걸리지만 기초가 가장 중요함으로 필수적인 일입니다.
기초를 지면까지 올린 다음에는 굵은 돌을 놓고 침수를 막기 위해 시멘트로 평행이 되게 다집니다. 그 위에 비닐을 깐 후에 흙벽돌을 쌓기 시작하는데요. 비닐을 깐 이유는 흙이 물에 약하기 때문입니다. 흙벽돌을 쌓으면서 문짝 달 곳은 문짝을 올려 놓는데,. 수평이 잘 맞도록 문짝 양쪽에 버팀목을 잡아둡니다. 그리고 위쪽으로 2센티미터 간격을 두고 위로 폭 9센티미터의 나무를 끼워 넣습니다.
흙 벽돌 쌓기가 끝나면 꼭 덮어두어야 합니다. 만약 비가 오게 되면 흙벽돌이 부서질 염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지붕 얹기.
흙벽돌을 다 쌓으면 높이 3미터 정도의 평구자로 사방의 수평을 맞춘 다음 들보를 두개 올리는데요. 이 들보는 지붕에 오르는 흙과 서까래를 이길수 있는 힘받이가 됩니다. 대들보를 놓고 규격을 맞추어 양쪽으로 서까래를 놓았다. 이 나무는 소나무가 좋고 편하며 껍질을 벗겨둔채 쓰면 됩니다.
서까래 사이사이는 원래 수수깡을 넣는데 요즈음은 수수깡을 구하는 것이 거의 불가합니다. 쭉정이 나무를 사서 끈으로 이어 나가면 되는데요. 이후에 질척하게 반죽한 흙을 위에서 내려 치듯이 덮어 반 자 두께로 바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붕 안쪽에서 새 칠때 흙에 묻어야 잘 굳기 때문인데요.
지붕에 덮어 바른 흙위에 이엉 엮을때 훑어놓은 허섶 지푸라기들을 올려 흙이 보이지 않도록 덮습니다. 그리고 엮어놓은 이엉을 지붕 끝 추녀에 맞추어 한바퀴 돌려덮고, 새끼줄로 짜집기 하듯이 묶어 놓습니다. 그 위를 두번째 줄부터 이어 나가면 되는데요. 이때 이엉을 조금씩 잡아당겨 새끼줄과 묶어 놓습니다. 마지막으로 용새를 올려놓고 새끼줄로 지붕전체를 엮습니다. 추녀쪽 지푸라기를 잘 다듬으면 예쁜 초가지붕이 탄생합니다.
이상으로 황토방시공 절차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 였습니다.
'생활에 참고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상식 페이드현상 알기 (0) | 2014.05.18 |
---|---|
자동차자가점검 방법. (0) | 2014.05.15 |
좀비컴퓨터 확인법. (0) | 2014.05.15 |
초보 야간운전 주의점 숙지하자. (0) | 2014.05.14 |
황토주택짓기 두번째 과정 (0) | 2014.05.12 |